-
SQLD_DAY1_1.데이터모델링의 이해마케팅/SQLD 2023. 5. 18. 11:25
1.모델링
(1) 모델링이란?
현실세계를 단순화하여 표현하는 기법
<모델링이 갖추어야 할 조건>
-현실세계를 반영해야 한다.
단순화하여 표현해야 한다.
관리하고자 하는 데이터 모델을 설계한다.
(2)모델링의 특징
1.추상화(Abstraction)
2.단순화(Simplification)
3.명확화(Clarity)
(3)모델링의 3가지 관점
1.데이터 관점(What,Data)
2.프로세스 관점(How,Process)
3.데이터와 프로세스 관점(Data Vs Process Interaction)
(4)모델링의 세가지 단계
1.개념적 모델링(Conceptual Data Modeling)
2.논리적 모델링(Logical Data Modeling)
3.물리적 모델링(Physical Data Modeling)
(5)데이터의 독립성
*스키마를 3가지로 나누는 이유: DB에 대한 사용자들의 관점과 DB가 실제 표현되는 물리적인 방식을 분리하기 위해서
데이터베이스가 존재하는 목적은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보여줄 수 있는 뷰를 제공하기 위해서임
<3단계 스키마>
1.외부스키마(External Schema)
2.개념스키마(Conceptual Schema)
3.내부스키마(Internal Schema)
2. 3단계 스키마가 보장하는 독립성
-논리적 독립성: 개념스키마가 변화되어도 외부스키마는 변하지 않는다.
-물리적 독립성: 내부스키마가 변화되어도 외부, 개념스키마는 영향받지 않는다.
(6) ERD(Entity Relationship Diagram)
시스템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
2.엔터티(Entity)
(1)엔터티란?
식별가능한 객체 의미, 업무에서 쓰이는 데이터를 용도별로 분류한 그룹
엔터티 : Table
인스턴스: Row
속성: Column
각각의 엔터티는 자신을 더 상세하게 나타내기 위해 속성(Attribue)가짐
(2)엔터티 특징
1.업무에서 쓰이는 정보여야 한다.
2.유니크함을 보장해 줄 수 있는 식별자가 존재해야 한다.(ex-상품코드, 학번)
3.2개 이상의 인스턴스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인스턴스가 1개만 있다면 의미가 없음)
4.반드시 속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5.다른 엔터티와 1개 이상의 관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3)엔터티의 분류
1.유형 vs 무형
-유형엔터티
-개념엔터티
-사건엔터티
2.사건 vs 시점
-기본엔터티
-중심엔터티
-행위언테티
*엔터티 이름 생성 시 주의해야할 점
-업무에서 실제 쓰이는 용어를 사용한다.
-한글약어 x, 영문 대문자로 표기한다.
-단수명사 사용, 띄어쓰기 사용x
-다른 엔터티와 의미 중복x
-해당 엔터티의 데이터를 명확하게 표현한다.
3.속성(Attribue)
(1)속성이란?
사물이나 개념의 특징을 설명해줄 수 있는 항목들
엔터티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 -> 속성
속성은 더 이상 쪼개질 수 없음
(2)속성값
각각의 속성은 속성값을 가지며, 하나의 인스턴스를 구체적으로 나타내주는 데이터이다.
*하나의 속성은 하나의 속성값만 가질 수 있다.
(3)엔터티, 인스턴스,속성,속성값 간의 관계
-한개의 엔터티는 두개 이상의 인스턴스를 가진다.
-한개의 인스턴스는 두개 이상의 속성을 가진다.
-하나의 속성은 하나의 속성값만 가진다.
(4)분류
1.특성에 따른 분류
-기본속성
-설계속성
-파생속성
2.구성방식에 따른 분류
-PK
-FK
-일반속성
4.관계(Relationship)
(1)관계란?
엔터티와 엔터티의 관계 의미, 존재관계와 행위관계로 분류
(2)존재관계
엄마와 아기처럼 존재 자체로 연관성이 있는 관계
ex) 직원-부서, 학생-학과
(3)행위관계
특정행위를 함으로서 연관성이 생기는 관계
ex)회원-주문, 학생-출석부
(4)표기법
1.관계명(Membership)
2.관계차수(Cardinarity)
3.관계선택사양(Optionality)
5.식별자(Idnetifiers)
(1)식별자란?
속성 중에 각각의 인스턴스를 구분가능하게 만들어주는 대표적인 속성
ex)학번,사번,군번
(2)주식별자
PK에 해당하는 속성, 하나의 속성이 주식별자가 될 수 있고, 여러개의 속성이 주식별자가 될 수 있음
1.유일성
2.최소성
3.불변성
4.존재성
(3)분류
1.대표성 여부
-주식별자(Primary Identifier)
-보조식별자(Alternate Indentifier)
2.스스로 생성여부
-내부식별자(Internal Indentifier)
-외부식별자(Foreign Identifier)
3.단일속성여부
-단일식별자(Single Identifier)
-복합식별자(Composite Identifer)
4.대체여부
-원조식별자(Original Identifier)
-대리식별자(Surrogate Identifier)
(4)식별자 관계 vs 비식별자 관계
1.식별자 관계
부모엔터티의 식별자가 자식엔터티의 주식별자가 되는 것이다.
주식별자는 반드시 있어야 하므로 부모엔터티가 있어야 생성이 가능하며, 단일 or 복합 식별자 여부에 따라 1:1 , 1:M 관계가 결정된다.
2.비식별자 관계
부모엔터티의 식별자가 자식엔터티의 주식별자가 아닌 '일반속성'이 되는 관계이다.
*일반속성의 속성값은 NULL이 될 수 있으므로, 부모없는 자식 엔터티 생성이나, 자식 엔터티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부모엔터티를 지울 수 있다.
'마케팅 > SQL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49회 SQLD 2주 공부 플랜 (0) 2023.05.17